개발 Q&A

제목 리눅스 NFS 에서 트래픽 개념이 ??
카테고리 서버
글쓴이 람이 작성시각 2017/06/12 15:21:34
댓글 : 6 추천 : 0 스크랩 : 0 조회수 : 11083   RSS

centos 6.X 에서 NFS 를 사용하여 마운트를 이용 중 입니다.

 

A: NFS 서버

B: NFS 클라이언트

 

A서버에서 파일을 200MB를 업로드 한다고 가정하면 

트래픽이 A와 B에 동시에 같이 발생하나요 ?

 

그리고 A서버 보다 B서버가 스펙이 낮다면 (메모리 16GB vs 32GB)라고 한다면 처리하는 속도에도 영향이 2배 차이 나는게 맞나요 ?

 

 

 

태그 NFS,리눅스,트래픽
 다음글 ie에서 microsoft 호환성 목록 사용체크 되어도... (2)
 이전글 서브쿼리와 foreach문 속도 차이. (3)

댓글

kaido / 2017/06/12 15:39:18 / 추천 1

트래픽은 회선 사용 비용을 의미합니다.

서버안에서 파일을 복사해서 옮겨도 트래픽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나가야만 트래픽 발생이라 하는데, 외부로 나가지 않으면 비용 발생이 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서버 컴퓨터라고 함은 내부 로컬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서, 연결된 컴퓨터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있는게 보통입니다.

 

 

메모리차이 하나이라면 사실상 업로드 속도는 동일 할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업로드하면 차이가 나겠지만,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또한 apache 설정에 업로드 설정 부분이 있습니다.

디폴트가 10M 일겁니다.

상향을 풀지 않으면 최대 10M 사용되는 겁니다. 

상향을 푸실려면 설정값을 바꿔주셔야 합니다.

 

디폴트로 비교할 경우...

10M/16G  VS  10M/32G

이런 대결인 겁니다.

[단순 계산으로... 10M짜리 파일을 1600명이 올린다면 16G 메모리에선 오버가 되어서 가상 메모리를 끌어다 쓸테니 느려질 겁니다.]

 

아 혹시 오해 하실까봐 첨언을 드리자면...

메모리 사용은 파일업로드 할때 크게 사용되는것은 맞으나, 사용자가 많아지면 기하급수적으로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납니다.

PHP만이 아니라 동기화 스택을 가진 웹 엔진의 태생적인 문제입니다.

nodejs가 갑자기 인기몰이 한것은 사용자가 많아져도 메모리 사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지 않고 에버리지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람이 / 2017/06/12 15:53:23 / 추천 0

kaido님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아이피가 각각 175.123.12.123 인 서버와 175.123.13.150 서버가 NFS로 서로 조인하고 있다면 트래픽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건가요 ?

반대로 아이피 주소가 175.123.12.123 과 222.123.12.145 번이라면 트래픽이 발생하는 거구요 ?

 

kaido / 2017/06/12 16:03:09 / 추천 0

네. 같은 네트워크 안이라고 해도, 외부 아이피를 적으면 일단 한번 밖으로 나갔다 들어오는 형태가 됩니다.

물론 설정에 따라서 조금 다를수 있긴 합니다만, 일반적인 설정은 이러합니다.

 

물론 구성에 따라서는 내부 트래픽 이라고 정의하고 내부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확실하지 않으면 해당 업체에 문의 하는게 가장 빠른 해결책입니다.

람이 / 2017/06/12 16:28:27 / 추천 0

KAIDO님 감사 합니다.

결국 두 서버가 서로 내부에서든 외부에서든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설정한 규정에 따라 다르다는 건가요 ?

위 문제로는 트래픽이 각각 두 서버에 발생하는지 안하는지 업체에 물어 봐야 한다는 거죠 ???

kaido / 2017/06/12 16:33:22 / 추천 0

네 그렇습니다.

호스팅사하고 이야기 할때 최소한의 지식이 있어야 압박! 할 수 있어서 가능한 설명해 드렸습니다~

변종원(웅파) / 2017/06/12 17:29:13 / 추천 0

kt ucloud의 경우 인바운드 트래픽은 계산하지 않는 걸로 기억됩니다.

어찌됐건 내부 아이피끼리라면 트래픽 비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공인 아이피를 대상으로 전송(파일, 데이터)이 일어나면 발생하구요.

물리서버에는 네트워크 카드를 2개 꽂아서 내부ip, 외부ip를 주고 내부(db, nfs 등) 연결하여 사용하고 외부는 말 그대로

고객이 접근하도록 사용합니다. 클라우드에서도 내부 아이피와 외부 아이피를 따로 주고 내부끼리의 연결은

비용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전에 내부 아이피(kt의 경우 cip로 부름)로 연결된 db에서 알수없는 문제로 연결이 되지 않아서 외부 아이피로

접속하도록 변경했던 적이 있었는데 다음 달에 보니 트래픽이 상당히 늘었었네요.